Mobile Dev/Android2010. 8. 21. 00:14
* 화면이 자동으로 꺼지는 것을 막는다.
    getWindow().addFlags(WindowManager.LayoutParams.FLAG_KEEP_SCREEN_ON);

* 카메라 줌 설정하기
    "zoom", "taking-picture-zoom" 두가지 설정 방법이 있다. 하드웨어에 따라 달리 사용된다.
    기본적으로 "zoom"을 사용하면 되나, 갤럭시에서는 "taking-picture-zoom"을 사용해야 된다.
    왜 항상 갤럭시는 혼자 저모양인지 모르겠음. (여튼 개발자 최대의 적은 갤럭시인건 분명하다.)
   1. "zoom" parameter 이용
       Camera.Parameters parmeters = camera.getParameters();
       parmeters.set("zoom", String.valueOf(value));
       camera.setParameters(parmeters);
    2. "taking-picture-zoom" parameter 이용
       Camera.Parameters parmeters = camera.getParameters();
       parmeters.set("taking-picture-zoom", String.valueOf(value));
       camera.setParameters(parmeters);

* 카메라 쵀대줌 값 가져오기
    줌 설정과 마찬가지로 "max-zoom", "taking-picture-zoom-max" 두가지 방법이 있다.
    물론 갤럭시는 "taking-picture-zoom-max"을 사용한다. 젠장할~~
    String maxZoomStr = parameters.get("max-zoom");
        또는
    String takingPicMaxZoomStr = parameters.get("taking-picture-zoom-max");

* Intent를 이용한 Web Browser 띄우기
    String webUrl = http://www.google.co.kr;
    Intent intent = new Intent(Intent.ACTION_VIEW, Uri.parse(webUrl));
    intent.putExtra(Browser.EXTRA_APPLICATION_ID, AppConstants.APP_ID_TAG);
    context.startActivity(intent);
    
    Extra에 자신 어플리케이션의 ID를 넘기게 되면 동일한 ID에 대해서는 항상 동일한 창에 띄워준다.

* WiFi Mac Address 가져오기
    WifiManager wifiManager = (WifiManager) context.getSystemService(Context.WIFI_SERVICE);
    WifiInfo wifiInfo = wifiManager.getConnectionInfo();
    String macAddress = wifiInfo.getMacAddress();

    ACCESS_WIFI_STATE 사용 권한을 줘야 한다.
Posted by as.wind.914
Mobile Dev/Android2010. 8. 14. 19:35
Android 어플에서 객체인식 및 특징점 검출, 카메라 핸들링, 이미지 처리 등 많은 부분에서 유용하게 쓰이는 OpenCV가 Android로 포팅이 가능한 android-opencv가 code.google.com에 올라와서 간단히 정리해 본다.
이 내용은 http://code.google.com/p/android-opencv/ 내용을 기반으로 정리한 것이다.

위 code.google.com의 페이지에 보듯이 opencv를 android에 포팅하기 위해서는 미리 준비해야 하는 것들이 있다.
일단 window 환경에서 포팅하는 것으로 정리한다.

1. android-opencv 포팅을 위한 사전 준비
    - android-sdk : 기본으로 준비해야 함. 
        www.android.com에서 다운받아서 설치하면 된다.
    - android-ndk : crystax ndk r4 이용
        code.google.com의 android-opencv는 Android의 기본 NDK로는 build가 되지 않는다.
        Down : http://www.crystax.net/android/ndk-r4.php
    - cygwin
        windows에서 가상 리눅스 환경을 만들어준다.
        Down : http://www.cygwin.com/
    - android-opencv source
        SVN을 이용하여 checkout 받는다. (http://android-opencv.googlecode.com/svn/trunk/)
        SVN에 접속하면 opencv, samples 모두 사용한다. 먼저 opencv를 빌드 한후에 samples를 빌드하여
        테스트한다.

2. cygwin 설치
    - 먼저 android-opencv를 빌드하기 위해 리눅스 환경을 만들기 위해 다운로드 후 설치한다.
    - 설치하는 절차는 간략히 설명한다. 부족하면 검색하면 좋은 자료가 많다.
    - [Choose A Download Site] 화면이 나올때 까지는 기본 설정 또는 경로만 변경하고 지나가면 된다.
    - [Choose A Download Site]도 적당한 사이트를 선택하고 Next (난 ftp://ftp.kaist.ac.kr을 선택했음.)
    - 다음 화면이 중요하다. 리눅스 환경에서 android-opencv를 빌드 시 필요한 패키지를 선택하여
      설치하는 부분이다.
       너무 걱정하지 말자. 모두 설치 후 필요한 패키지는 다시 설치파일을 실행하여 똑같이 진행해서 이 화면에서
       다시 선택하여 설치가 가능하다.
       설치 할 항목
            Devel : gcc-core, gcc-g++, make, swig
            Editor : vim    
    - 그 다음부터는 그냥 두면 설치가 된다.
    - 설치 완료 후 실행하게 되면 리눅스 환경의 콜솔 창이 하나 뜨고 최초 실행 시 window 로그인 계정으로
       /home/[user] 형식으로 폴더가 생성이된다. 기본 사용 쉘은 bash shell 이다.

3. crystax ndk r4 
    - 해당 사이트에서 다운로드 받아 적당한 곳에 압축을 풀면된다.
    - 압축을 푼 후 cygwin이 설치 된 /home/[user]/ 아래 복사를 한다. cygwin 환경에서 빌드를 진행하기 위함.
    - 저의 빌드 환경에서의 패스는 /home/ukzzang/android-ndk-r4-crystax 임.

4. android-opencv source
    - svn을 이용하여 checkout 받은 뒤 체크 받은 소스를 cygwin이 설치 된 /home/[user]/ 아래에
       android-opencv로 복사한다. 경로를 변경해도 무방하다.

이로써 android-opencv를 빌드하기 위한 사전 준비 작업은 끝났다.

5. android-opencv build
    5.1. cygwin 환경 설정
        - windows 환경에서 패스 설정
            [바탕화면 컴퓨터] -> [설정] -> [고급 시스템 설정] -> [환경변수]의 path 부분에
            C:\cygwin\home\ukzzang\android-ndk-r4-crystax;C:\cygwin\bin; 추가한다.
        - cygwin 실행 후 bash 환경 파일 수정 (.bashrc 파일 수정 후 적용)
            vi ~/.bashrc 실행 (사용자 home 경로에서 실행)
        - 아래 내용을 추가한다.
            export PATH=$PATH:/home/ukzzang/android-ndk-r4-crystax
            export ANDROID_NDK_ROOT=/home/ukzzang/android-ndk-r4-crystax
            source ~/.bashrc 환경 설정 정보 재적용
    5.2. android-opencv build
        - cd /home/ukzzang/android-opencv/opencv 로 이동
        - sh build.sh
        - 뭐 빌드는 아주 간단하죠 ... build 하는데 시간이 꽤 걸리는 편이다. 천천히 기다리자
        - 빌드가 완료되면 ....../opencv/android/libs/armeabi 아래에 libopencv.so 파일이 생성된다.

여기까지로 android-opencv 빌드가 끝났다 ... 그럼 다음올 svn에서 받은 samples의 CVCamera를 빌드하여
실행해서 테스트 해보겠다.

6. android-opencv test
    6.1. CVCamera Sample Build
        - 테스트는 samples 안에 있는 CVCamera Project를 이용하여 진행하겠다.
        - 먼저 CVCamera Project를 NDK로 빌드한다. android-opencv 빌드와 동일하다.
        - ......./samples/CVCamera로 경로 이동
        - sh build.sh 실행하면 빌드 된다.
           혹시 경로부분에서 오류가 발생하면 jni 폴더의 Android.mk 파일을 vi로 열어서 수정하고 다시 빌드.
        - 위 화면처럼 빌드가 완료되면 libs/armeabi 아래에 libcvcamera.so 파일이 생성되어 있다.
        - 프로젝트 빌드 끝 ... 이제 Eclipse에서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실행만 해보면 된다.
    6.2. Eclipse Project Create & Test
        - Eclipse에 Android Project를 생성하고 cygwin에서 빌드한 CVCamera를 Import 한다.
        - 빌드 한 android-opencv 밑에 가면 android로 빌드하면서 생성 된 폴더가 있는데 안의 jni 밑의 Java 
           파일들도 Import 한다. 그리고 당연히 libandroid-opencv.so 파일도 프로젝트의 libcvcamera.so가 있는
           위치에 복사한다.
        - 프로젝트를 폰이나 에뮬에서 테스트하면 된다.
        - 카메라 뷰가 보이며, 뷰에 보이는 영상이 메뉴에서 선택한 알고리즘에 따라 특징 점들이 추출되어 보이게 된다.

이걸로 정말 끝 ...
       
Posted by as.wind.914
Mobile Dev/Android2010. 7. 30. 23:01
어플리케이션에서 모션 이벤트 중의 하나로 제스쳐라는 것이 있다.
일반적인 터치 이벤트는 DOWN - MOVE - UP의 단계를 거치면서 사용자가 어떤 동작을 입력하는지 감지 할 수 있다.
그럼 이 일련의 사용자 모션들을 조합하여 사용자가 입력하였다면 그 조합이 어떠한 동작인지 알 수도 있다.
이때 사용자의 조합된 모션(제스쳐)를 쉽게 판별하기 위해서 Android에서 제공하는 것이 GestureDetector 클래스 입니다.

GestureDetector는 두 가지 Listener를 가지고 있습니다.
    - interface GestureDetector.OnDoubleTapListener
    - interface GestureDetector.OnGestureListener
자세한 설명은 Reference를 보시면 됩니다.
    - http://developer.android.com/reference/android/view/GestureDetector.html
OnDoubleTapListener는 이름 그대로 두번 터치 했을 때, OnGestureListener는 일반적인 제스쳐들, 한번 터치나 스크롤 관련 Listener입니다.
그리고 저 두 가지 interface를 모두 가진 녀석이 있습니다.
    - class GestureDetector.SimpleOnGestureListener
보통 SimpleOnGestureListener만 extends 하면 모든 제스쳐를 다 사용 할 수 있습니다.

사용법도 매우 간단합니다. GestureDetector를 만들기만 하면 됩니다.
    // GestureDetector를 만들 때 GestureListener를 등록 
    mGestureDetector = new GestureDetector(this, new SimpleGestureListener());
    // 감시할 MotionEvent를 onTouchEvent에 넣어 주면 GetstureListener가 호출이 된다.
    mGestureDetector.onTouchEvent(event);

각 제스쳐의 이벤트는 아래와 같이 정의되어 있습니다.
    - public boolean onDoubleTap(MotionEvent e)
        두 번 터치입니다. onDoubleTap은 두 번 터치하면 이벤트가 더 이상 발생 되지 않는다.
    - public boolean onDoubleTapEvent(MotionEvent e)
        DOWN, MOVE, UP 이벤트를 모두 포함 합니다. 
    - public boolean onDown(MotionEvent e)
        터치하려고 손을 대기만 해도 발생되는 이벤트, 모든 제스쳐의 시작
    - public boolean onFling(MotionEvent e1, MotionEvent e2, float vX, float vY)
        onScroll에서 끝을 살짝 튕기는 동작에서 발생하는 이벤트
    - public void onLongPress(MotionEvent e)
        스크롤 시에 발생하는 이벤트
    - public boolean onScroll(MotionEvent e1, MotionEvent e2, float dX, float dY)
        길게 눌렀을 때 발생 하는 이벤트
    - public void onShowPress(MotionEvent e)
        onLongPress보다는 좀 더 짧은 시간동안 누르고 있으면 발생 하는 이벤트
    - public boolean onSingleTapConfirmed(MotionEvent e)
        한 번 터치 했을 때 발생하는 이벤트
    - public boolean onSingleTapUp(MotionEvent e) 
        한 번 터치 하고 다음에 다시 터치 이벤트가 들어오지 않았을 때, 한 번 터치가 확실 하다고 확인 시켜주는 이벤트

1. 아주 살짝 터치
    onDown : ACTION_DOWN
    onSingleTapUp : ACTION_UP
    onSingleTapConfirmed : ACTION_DOWN
일단 손을 대면 무조건 onDown 이벤트 발생입니다.
살짝 터치를 하게 되면 보통 30~60ms 정도 후에 손이 떨어지게 됩니다.
손이 떨어 지면 onSingleTapUp 이벤트가 발생하며, onDown이벤트 발생 후 약 300ms 안에 다시 onDown 이벤트가 발생 하지 않는다면 onSingleTapConfirmed 이벤트가 발생하여 확실히 한 번 터치 되었다는 이벤트를 발생 시킵니다.

2. 살짝 터치
    onDown : ACTION_DOWN
    onShowPress : ACTION_DOWN
    onSingleTapUp : ACTION_UP
    onSingleTapConfirmed : ACTION_DOWN
역시나 onDown 이벤트 부터 시작입니다.
1번 보다는 살짝 길게, 약 90~100ms 정도 터치되면 onShowPress 이벤트가 발생합니다. 172ms 이후에 손을 떼었으며, 역시나 300ms 정도 지나면 onSingleTapConfirmed 이벤트가 발생 됩니다.

3. 약간 길게 터치
    onDown : ACTION_DOWN
    onShowPress : ACTION_DOWN
    onSingleTapUp : ACTION_UP
2번보다 좀 더 길지만, LongPress는 아닌 상황입니다.
역시 이 때도 약 100ms 정도에 onShowPress 이벤트가 발생하긴 하지만 300ms 이후에 손을 떼었기 때문에 onSingleTapConfirmed 이벤트가 먹히는 현상이 일어납니다.

4. 아주 길게 터치
    onDown : ACTION_DOWN
    onShowPress : ACTION_DOWN
    onLongPress : ACTION_DOWN
LongPress가 발생 하는 상황입니다.
100ms 정도에 onShowPress 이벤트가 발생 하며, 약 590~600ms 정도에 onLongPress 이벤트가 발생 합니다.
이때 onSingleTapUp 이벤트는 발생 하지 않습니다.
두 번 터치 하는 경우에는 이벤트가 두 가지이기 때문에, 두 가지 조합의 경우 모두 살펴 보겠습니다.

5. 두 번 터치 (onDoubleTap)
    onDown : ACTION_DOWN
    onSingleTapUp : ACTION_UP
    onDoubleTap : ACTION_DOWN
    onDown : ACTION_DOWN (지연 될 수 있음)
먼저 onSingleTapUp 이벤트가 발생 합니다.
그리고 onSingleTapConfirmed 가 발생 하기 전에 다시 onDown 이벤트가 들어오게 되면 onDoubleTap 이벤트가 발생 합니다.
참고로 두번째 들어오는 onDown 이벤트는 onDoubleTap 이벤트보다 늦게 들어 올 수 있습니다.
(항상 같이 들어 오는게 아니라 onDoubleTap이 먼저 발생 합니다.)

6. 두 번 터치 (onDoubleTapEvent)
    onDown : ACTION_DOWN
    onSingleTapUp : ACTION_UP
    onDoubleTapEvent : ACTION_DOWN
    onDown : ACTION_DOWN (지연 될 수 있음)
    onDoubleTapEvent : ACTION_UP
onDoubleTap 이벤트와의 차이는 DOWN, MOVE, UP 이벤트까지 모두 캐치된다는 점이며, 마지막에 onDoubleTapEvent에 UP 액션이 들어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.
(위의 경우, 190ms 이후에 두번째 터치에서 손이 떨어졌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.)

7. 두 번 터치 (onDoubleTap + onDoubleTapEvent)
    onDown : ACTION_DOWN
    onSingleTapUp : ACTION_UP
    onDoubleTap : ACTION_DOWN
    onDoubleTapEvent : ACTION_DOWN (지연 될 수 있음)
    onDown : ACTION_DOWN (지연 될 수 있음)
    onDoubleTapEvent : ACTION_UP
같이 사용 하게 되면 onDoubleTap, onDoubleTapEvent 이벤트 둘 다 발생하며, 항상 onDoubleTap 이벤트가 먼저 발생 하게 됩니다. (결과적으로 onDoubleTap - onDoubleTapEvent - onDown 순서로 발생 합니다.)

8. 두 번 터치, 두 번째 터치시 스크롤 (onDoubleTapEvent)
    onDown : ACTION_DOWN
    onSingleTapUp : ACTION_UP
    onDoubleTapEvent : ACTION_DOWN
    onDown : ACTION_DOWN (지연 될 수 있음)
    onDoubleTapEvent : ACTION_MOVE
    onShowPress : ACTION_DOWN
    ...
    onDoubleTapEvent : ACTION_MOVE
    ...
    onLongPress : ACTION_DOWN
    onDoubleTapEvent : ACTION_UP
평소에 절대 나올법한 제스쳐지만 onDoubleTapEvent의 특성을 살펴보기 위한 제스쳐 입니다.
두 번째 onDown 이벤트 이후에 MOVE 이벤트가 들어 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으며, 한가지 특이한 점은 계속 스크롤 되지 않고 onLongPress 이벤트가 발생하면 끝난다는 점입니다.
손을 뗄 수 밖에 없는 상황이 오게 되죠.
위에서 보시다 시피, 조금 길게 눌러짐에 따라 onShowPressonLongPress가 도중에 발생 할 수도 있습니다.

9. 스크롤
    onDown : ACTION_DOWN
    onScroll : ACTION_DOWN, ACTION_MOVE   
스크롤 이벤트는 간단 합니다.
최소 30ms 이후 부터는 onScroll 이벤트가 발생 할 수 있으며, 플링시키지 않고 살며시 손을 떼면 끝까지 onScroll 이벤트만 연속으로 발생 합니다.

10. 플링
    onDown : ACTION_DOWN
    onScroll : ACTION_DOWN, ACTION_MOVE 
    ...
    onFling : ACTION_DOWN, ACTION_UP
마지막에 손가락을 슬며시 튕기는 플링 동작입니다. 스크롤 이벤트와 비슷하지만, 마지막에 UP 액션과 함께 onFling 이벤트가 동작합니다. 스크롤과 플링 제스쳐 모두 시간에 따라 onShowPress 이벤트가 발생 할 수 있습니다.

지금까지 Android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GestureDetector에 대해서 간략하게 알아봤다. GestureDetector가 모든 사용자들의 제스쳐를 판별할 수는 없다. 어플리케이션의 성격과 기능에 따라 점더 섬세하고 세세한 GestureDetector가 필요할 수도 있다.

Posted by as.wind.914